top of page
검색

현대의 장소(Place) 경험과 장소애(場所愛), 토포필리아(Topophilia)

  • 작성자 사진: 메타필리아
    메타필리아
  • 2023년 7월 18일
  • 5분 분량

최종 수정일: 9월 13일


📌과거와 그 흐름을 달리하는 현대의 장소(Place) 경험과 장소애(場所愛), 토포필리아(Topophilia)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장소(Place)에 대한 이해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보다는 확장된 의미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인간의 활동은 다양한 관계 구조를 지닌 장소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Places these days where media evolves seem to have different meanings from places in the past. Therefore, human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a place must start wi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lace with various relational structures. 🔻1st Meta Voice 장소의 의미? 장소의 단어적 의미를 보면, ‘장소는 인간이 물리적 측면에서 일정하게 한정된 공간적 범위를 인위적 활동을 통해 가치를 부여한 중심’으로 정의됩니다. 이는 장소의 의미가 위치라는 물리적 측면 이외에도 상징적인 측면, 활동적인 측면을 포괄함을 알 수 있습니다. 장소에 대한 해석은 공간(space)의 개념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집니다. A place is defined as 'the center where human beings have given value through artificial activities to a certain limited spatial range in terms of physical aspects'. This shows that the meaning of a place includes the symbolic and active aspect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aspect of location. The interpretation of place becomes clearer when compared to the concept of space. 공간이란 실재론적 차원에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물리적 실체입니다. 구체적인 방향이나 거리,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개념으로, 공간이 ‘무엇도 존재하지 않는 빈 곳’ 을 전제로 한다면, 장소는 공간이라는 물리적 실체에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성격이 결합된 것입니다. Space is a physical entity that exists objectively on a realist level. As a concept that can grasp specific directions, distances, and locations, if space is premised on ‘an empty place where nothing exists’, a place is a physical entity that combines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요약하면, 장소는 어떠한 의미가 부여된 공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죠! 인간의 체험을 통한 공간의 이해와 가치의 부여가 장소 형성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소=물리적 실체+인간 행위의 결과물) In summary, a place can be defined as a space with a certain meaning! The understanding and value of space through human experience can be seen as the core of place formation. (Place = Physical entity + Result of Human Action) 🔻2nd Meta Voice 현대의 장소에 대한 이해 우리는 어떠한 장소를 경험할 때 장소애를 경험합니다. 여기서 장소애는 삶의 터전에서 축적한 사랑과 정의 감정을 뜻하는 것으로, 미국의 지리학자인 이-푸 투안의 사유와 동일한 개념 용어인 ‘토포필리아(Topophilia)’로 볼 수 있습니다. When we experience a place, we experience a love of place. Here, love of place refers to the feelings of love and justice accumulated in the place of life, and can be seen as ‘topophilia’, a conceptual term identical to the thoughts of American geographer Yi-Fu Tuan.


과거에는 이러한 장소애에 대한 경험이 주로 현실세계에 국한되어 일어났으나, 오늘날에는 소셜미디어와 다양하고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진화로 가상세계에서도 경험할 수 있게 되었죠. 즉,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를 무너진거예요. 따라서 오늘날 장소애착은 장소의 물리적 속성이 아닌, 인간의 경험 실체로 해석되 어야 합니다(Lee, 2001; Williams, Patterson, & Roggenbuck, 1992). In the past, this experience of place love was mainly confined to the real world, but today, with the advent and evolution of social media and various new media, it can be experienced in the virtual world as well. In other words, the boundary between the virtual world and the real world has collapsed. Therefore, attachment to place today is interpreted not as a physical property of a place, but as a human experience reality. (Lee, 2001; Williams, Patterson, & Roggenbuck, 1992).


새로운 환경에서 최상의 브랜드 경험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유연한 연결과 그곳에서의 소통과 참여, 플랫폼 간의 교류를 통해 가능하다. 박신희(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메타버스 생태계를 위한 트랜스 브랜딩 전략 방법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10호, 2022.10(9page) DOI : 10.9728/dcs.2022.23.10.2017 / Top 5% 논문

🔻3rd Meta Voice → 현대의 장소 경험 사례 서울의 강남 한복판에서 시작된 거대한 ‘파도’는 뉴욕 타임스스퀘어를 넘어 세계로 나나갔습니다. 디지털 디자인 회사 디스트릭트(d’strict)가 지난 4월 2022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웨이브’에 이은 ‘웨일 #2’로 2년 연속 커뮤니케이션 분야 금상을 수상한 것이다. 불과 2년 사이 실험적 퍼블릭 미디어 아트 작품으로 세계 ‘최초’를 지나 세계 미디어아트의 코어(core)가 되었죠. 2020년 4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 광장. 가로 81m, 세로 20m인 농구 장 4개 면적의 초대형 ‘케이팝 스퀘어’에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었습니다. 거대한 수족관과도 같은 유리 상자 안에는 멈추지 않는 파도가 담겨 있었죠. 유리벽에 부딪혀 포말과 함께 부서지는 파도가 끝도 없이 이어지는 영상은 광장 벤치에 있던 이들을 ‘물멍’ 상태로 빠져들게 했습니다. 그리고 5월, 해당 영상이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자 SNS에서 화제가 되며 하루 만에 700만 뷰를 기록했어요. 코엑스 한복판의 미디어아트 전시 공간을 체험하거나 SNS로 전달되는 영상을 공유한 경험자들이 이로인한 사회적 연결감과 만족도로 장소애착을 형성하는 순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The huge ‘wave’ that started in the middle of Gangnam in Seoul went beyond Times Square in New York to the world. Digital design company d’strict won the gold prize in the communication category for the second year in a row at the 2022 iF Design Awards in April with ‘Whale #2’ following ‘Wave’. In just two years, as an experimental public media art work, it passed the world’s ‘first’ and became the core of world media art. April 2020, COEX Plaza in Samseong-dong, Seoul. People'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super-large 'K-Pop Square', which is 81m wide and 20m long, covering the area of 4 basketball courts. Inside the glass box, like a huge aquarium, there were non-stop waves. The endless video of the waves crashing into the glass wall and crashing with foam made those on the plaza bench fall into a state of ‘Water hole’. And in May, when the video was released on YouTube, it became a hot topic on social media and recorded 7 million views in one day. It can be seen as the moment when those who experienced the media art exhibition space in the middle of COEX or shared the videos delivered through social media formed an attachment to the place with a sense of social connection and satisfaction.


ree

2020년 실험적 시도로 선보인 퍼블릭 미디어 아트 ‘웨이브’ 전시 전경. 실감 콘텐츠의 퀄리티도 놀랍거니와 회사의 디지털 미디어 아트 역량을 홍보하기 위해 상업성이 배제된 ‘공공 예술’ 방식을 선택한 것 역시 획기적 행보였다.

출처 : 리더피아(Leaderpia)(http://www.leaderpia.com)


ree
















1. 삼성전자와 협업으로 ‘세계의 광고판’이라 할 수 있는 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매시 정각에 ‘워터폴엔와이씨’를 선보였다. / 2.2021년 7월에 공개된 ‘웨일 2’로 최근 2022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커뮤니케이션 부문 금상을 수상했다. 2021년 ‘웨이브’가 최고점을 기록하며 금상을 수상한 데 이어 2년 연속 영예를 안았다. 출처 : 리더피아(Leaderpia)(http://www.leaderpia.com)


ree

2020년 9월 국내 최대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 ‘아르떼뮤지엄 제주’가 첫선을 보였다. 제주에서의 상업적 성공은 곧이어 여수, 강릉의 아르떼뮤지엄 2호, 3호로 이어졌다. 상단 좌측 사진이 아르떼뮤지엄 제주, 우측이 아르떼뮤지엄 강릉의 외관이다. 출처 : 리더피아(Leaderpia)(http://www.leaderpia.com)




​​

Metaphilia와 함께, 새로운 지식영감을 더해 보세요!




"융합디자인랩코프(Convergence Design Labcorp) '메타필리아'의 메타페이퍼 '구독 서비스'는 마감 되었습니다."


⏫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Metaphilia

"메타필리아는 상표 등록이 완료된 브랜드로, 상표법에 의거하여 법적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메타필리아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



 
 
메타필리아 로고

© 2022 by METAPHILIA.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