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문화적 가치와 팝업스토어

  • 작성자 사진: 메타필리아
    메타필리아
  • 2023년 8월 16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9월 13일

MZ세대의 브랜드 놀이터로 불리는 팝업스토어 짧지만 강렬한 젊은이들의 공간템 팝업스토어의 운영 마케팅 전략은 무엇일까?


ree

popupstore-7218251_1281


요즘 MZ 세대의 브랜드 놀이터라고 불리는 팝업스토어!

현대 사회의 젊은이들은 감성 소비시대를 넘어 '솔리드 소비시대 (Solid / 고체를 뜻하는 영단어에서 비롯된 소비개념으로 고정적이고 정형화되어 쉽게 변하지 않는 소비 패턴을 뜻한다. 리퀴드 소비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리퀴드 소비시대 (Liquid / 액체를 뜻하는 영단어에서 비롯된 소비개념으로 고정적이지 않고 변화가 많은 소비 패턴을 이야기 뜻한다. 솔리드 소비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등과 같은 다양한 소비 문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특히 MZ 세대는 소셜미디어 (SNS) 플랫폼을 중심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며 새로운 구매 채널을 급부상시키기도 했지만 2022년부터는 경험에 지출하는 또 다른 구매 행태를 보이며 오프라인 매장의 가치 또한 변화하기 시작했다. 온라인으로 일상의 모든 일이 가능해졌지만 오프라인 매장이 판매가 아닌 고객 경험을 야기하는 중요 장소로 변모하게 되며 팝업스토어는 트렌디한 장소로 주목받게 되었다.


팝업스토어는 '떴다 사라진다 (pop-up)'라는 의미를 가진 영단어로 짧은 기간 일시적으로 운영하는 상점을 의미한다. 현대의 팝업스토어는 소비자 체험을 기반으로 매장 내에 제공된 콘텐츠를 통해 감성적 가치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며 브랜드가 고객 반응을 살피기에 적합하다는 특징 때문에 의류산업은 물론 캐릭터, 식음료 업계 등에서 브랜드 확장을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기술혁명이 전 세계를 강타하며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는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율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활성화되었고, 이와 동시에 소비자가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면서 경험을 중시하는 ‘쇼루밍 (Showrooming /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살펴본 후 구입은 온라인 사이트를 통하는 소비패턴’, ‘역 쇼루밍 (역쇼루밍과 반대로 반대로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아본 후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패턴)'과 같은 새로운 문화도 생겨나며 팝업스토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 마케팅 전략 중 하나로 바뀌게 되었다.


ree


Metaphilia와 함께, 새로운 지식영감을 더해 보세요!




"융합디자인랩코프(Convergence Design Labcorp) '메타필리아'의 메타페이퍼 '구독 서비스'는 마감 되었습니다."


⏫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Metaphilia

"메타필리아는 상표 등록이 완료된 브랜드로, 상표법에 의거하여 법적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메타필리아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



 
 
메타필리아 로고

© 2022 by METAPHILIA.

bottom of page